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 연구원 소개

    연구원 소개

    텬로력뎡 제1장면
    크리스천이 복음전도사의 계도를 받다

    • 인사말
    •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이란?
    • 연혁
    • 조직도
    • 구성원
    • 오시는 길
  • 간행 도서

    간행 도서

    텬로력뎡 제21장면
    크리스천이 악귀를 만나 기도하다

    • 연구원 간행도서
    • HK+ 메타모포시스총서
  • 학술 대회

    학술 대회

    텬로력뎡 제33장면
    크리스천과 소망이 절망의 옥에 갇히다

    • 학술 대회/세미나
    • HK+ 학술대회
    • HK+ 콜로키움
    • HK+ 글로벌한국학 포럼
    • HK+ 석학강좌
    • HK+ 월례발표회
    • 활동 갤러리
  • 기독교와 문화

    기독교와 문화

    텬로력뎡 제37장면
    무지를 만나다

    • 기독교와 문화 안내
      • 안내사항
      • 투고 규정 및 논문 작성법
      • 심사 및 발행 규정
      • 연구윤리 규정
    • 학술지 보기
    • 논문 투고
  •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텬로력뎡 제40장면
    천사를 만나다

    • 디지털아카이브 소개
    • 한국 근대와 기독교
    • 선교사와 근대대학
    •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 한국전쟁과 기독교
    • 평양과 숭실
    • 숭실 불휘총서 및 기타 출판물
    •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해제집
  • 인문학 강좌

    인문학 강좌

    텬로력뎡 제42장면
    천국에 들어가다

    • 인문강좌
    • 지역연계프로그램
    • 인문주간
    • 공모전
    • 온라인 강좌
  • 공지사항

    공지사항

    • 공지사항
전체메뉴 열기
  • 연구원 소개
    • 인사말
    •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이란?
    • 연혁
    • 조직도
    • 구성원
    • 오시는 길
  • 간행 도서
    • 연구원 간행도서
    • HK+ 메타모포시스총서
  • 학술 대회
    • 학술 대회/세미나
    • HK+ 학술대회
    • HK+ 콜로키움
    • HK+ 글로벌한국학 포럼
    • HK+ 석학강좌
    • HK+ 월례발표회
    • 활동 갤러리
  • 기독교와 문화
    • 기독교와 문화 안내
      • 안내사항
      • 투고 규정 및 논문 작성법
      • 심사 및 발행 규정
      • 연구윤리 규정
    • 학술지 보기
    • 논문 투고
  • 디지털아카이브
    • 디지털아카이브 소개
    • 한국 근대와 기독교
    • 선교사와 근대대학
    •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 한국전쟁과 기독교
    • 평양과 숭실
    • 숭실 불휘총서 및 기타 출판물
    •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해제집
  • 인문학 강좌
    • 인문강좌
    • 지역연계프로그램
    • 인문주간
    • 공모전
    • 온라인 강좌
  • 공지사항
    • 공지사항
전체메뉴 닫기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 홈
  • 디지털아카이브
  •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디지털아카이브

  • 디지털아카이브 소개
  • 한국 근대와 기독교
  • 선교사와 근대대학
    • 근대대학 교과서
    • 프랜시스 킨슬러 가족 컬렉션
    • 윌리엄 베어드 가족 컬렉션
  •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 한국전쟁과 기독교
  • 평양과 숭실
  • 숭실 불휘총서 및 기타 출판물
  •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해제집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품 중 근대 초기 문화적 메타모포시스 연구에 활용될 만한 자료를 선별하여 공개합니다. 근대전환기의 각종 단행본과 교과서류, 연속간행물, 19세기 중국의 서학 관련 자료들(『격치휘편』(格致彙編) 및 각종 수지류)을 포괄합니다.

검색어

전체 40 건 페이지 1/4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연속간행물

    조회수48

    格致彙編 第4年 第1卷 (The Chinese Scientific And Industrial Magazine VOL Ⅳ. No. 1)

    과학기술, 격치, 근대화, 존 프라이어, 계몽운동

    • 간행일光緖 7 (1881.2)
    • 발행처上海格致敎書院發售
    • 저자傳蘭雅(英) 編
    • 면수22
    • 언어한문
    • 소장기관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격치휘편(格致彙編)"은 청나라에 주재하던 서양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서구의 과학기술을 소개할 목적으로 출판한 월간 잡지다. 1876년(청나라 연호, 광서2년) 2월호를 시작으로 1882년 1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 간행되었고, 이후 1890년부터 1892년까지는 계간지로 전환됐다. 특히 "격치휘편"은 청나라가 아편전쟁에서 패한 후 관료들을 중심으로 서구식 근대화를 추구하는 양무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창간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발행인을 맡은 존 프라이어(John Fryer, 한자이름 傅蘭雅)는 영국 성공회에서 파견된 선교사로 과학과 더불어 한학에도 조예가 깊어 28년간 강남제조국편역(江南制造局編驛)으로 활동하며 143권에 이르는 서구 과학기술 서적을 중국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격치휘편"은 서구 각국의 과학발달을 소개하는 비교적 가벼운 잡설에서부터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의학과 같은 과학 이론을 상세히 설명하는 기사들은 물론 광물, 농업, 전기, 기계, 군사무기, 기기제조, 인쇄, 철로, 방직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과학기술 전반을 매우 폭넓게 다뤘다. 특히 설명과 함께 상세한 도판들을 다양하게 실어 대중의 과학기술 이해를 도왔다.
    동아시아 최초의 월간 과학기술 잡지로서 "격치휘편"은 조선에까지 유통되었는데, 지석영은 1882년 고종에게 올린 상소에서 "격치휘편"을 거론하며 서구 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를 주장한 바 있으며, "한성순보"는 "격치휘편" 의 내용 일부를 주요 기사로 수록하기도 했다. 또한 1896년에 창간된 "대조선독립협회회보"는 "격치휘편"의 기사들을 창간호부터 다시 선별해 중요 내용을 소개했다.
    "격치휘편"은 청나라에서 10여 년간 월간으로 발행된 잡지인 만큼 그 양이 방대해 전편을 구비해 소장하기 어려운 형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숭실대학교 박물관 등이 각각 그 일부씩을 소장하고 있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연속간행물

    조회수33

    格致彙編 第4年 第2卷 (The Chinese Scientific And Industrial Magazine VOL Ⅳ. No. 2)

    과학기술, 격치, 근대화, 존 프라이어, 계몽운동

    • 간행일光緖 7 (1881.3)
    • 발행처上海 格致敎書院發售
    • 저자傳蘭雅(英) 編
    • 면수21
    • 언어한문
    • 소장기관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격치휘편(格致彙編)"은 청나라에 주재하던 서양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서구의 과학기술을 소개할 목적으로 출판한 월간 잡지다. 1876년(청나라 연호, 광서2년) 2월호를 시작으로 1882년 1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 간행되었고, 이후 1890년부터 1892년까지는 계간지로 전환됐다. 특히 "격치휘편"은 청나라가 아편전쟁에서 패한 후 관료들을 중심으로 서구식 근대화를 추구하는 양무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창간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발행인을 맡은 존 프라이어(John Fryer, 한자이름 傅蘭雅)는 영국 성공회에서 파견된 선교사로 과학과 더불어 한학에도 조예가 깊어 28년간 강남제조국편역(江南制造局編驛)으로 활동하며 143권에 이르는 서구 과학기술 서적을 중국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격치휘편"은 서구 각국의 과학발달을 소개하는 비교적 가벼운 잡설에서부터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의학과 같은 과학 이론을 상세히 설명하는 기사들은 물론 광물, 농업, 전기, 기계, 군사무기, 기기제조, 인쇄, 철로, 방직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과학기술 전반을 매우 폭넓게 다뤘다. 특히 설명과 함께 상세한 도판들을 다양하게 실어 대중의 과학기술 이해를 도왔다.
    동아시아 최초의 월간 과학기술 잡지로서 "격치휘편"은 조선에까지 유통되었는데, 지석영은 1882년 고종에게 올린 상소에서 "격치휘편"을 거론하며 서구 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를 주장한 바 있으며, "한성순보"는 "격치휘편" 의 내용 일부를 주요 기사로 수록하기도 했다. 또한 1896년에 창간된 "대조선독립협회회보"는 "격치휘편"의 기사들을 창간호부터 다시 선별해 중요 내용을 소개했다.
    "격치휘편"은 청나라에서 10여 년간 월간으로 발행된 잡지인 만큼 그 양이 방대해 전편을 구비해 소장하기 어려운 형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숭실대학교 박물관 등이 각각 그 일부씩을 소장하고 있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연속간행물

    조회수24

    格致彙編 第4年 第3卷 (The Chinese Scientific And Industrial Magazine VOL Ⅳ. No. 3)

    과학기술, 격치, 근대화, 존 프라이어, 계몽운동

    • 간행일光緖 7 (1881.4)
    • 발행처上海 格致敎書院發售
    • 저자傳蘭雅(英) 編
    • 면수21
    • 언어한문
    • 소장기관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격치휘편(格致彙編)"은 청나라에 주재하던 서양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서구의 과학기술을 소개할 목적으로 출판한 월간 잡지다. 1876년(청나라 연호, 광서2년) 2월호를 시작으로 1882년 1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 간행되었고, 이후 1890년부터 1892년까지는 계간지로 전환됐다. 특히 "격치휘편"은 청나라가 아편전쟁에서 패한 후 관료들을 중심으로 서구식 근대화를 추구하는 양무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창간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발행인을 맡은 존 프라이어(John Fryer, 한자이름 傅蘭雅)는 영국 성공회에서 파견된 선교사로 과학과 더불어 한학에도 조예가 깊어 28년간 강남제조국편역(江南制造局編驛)으로 활동하며 143권에 이르는 서구 과학기술 서적을 중국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격치휘편"은 서구 각국의 과학발달을 소개하는 비교적 가벼운 잡설에서부터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의학과 같은 과학 이론을 상세히 설명하는 기사들은 물론 광물, 농업, 전기, 기계, 군사무기, 기기제조, 인쇄, 철로, 방직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과학기술 전반을 매우 폭넓게 다뤘다. 특히 설명과 함께 상세한 도판들을 다양하게 실어 대중의 과학기술 이해를 도왔다.
    동아시아 최초의 월간 과학기술 잡지로서 "격치휘편"은 조선에까지 유통되었는데, 지석영은 1882년 고종에게 올린 상소에서 "격치휘편"을 거론하며 서구 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를 주장한 바 있으며, "한성순보"는 "격치휘편" 의 내용 일부를 주요 기사로 수록하기도 했다. 또한 1896년에 창간된 "대조선독립협회회보"는 "격치휘편"의 기사들을 창간호부터 다시 선별해 중요 내용을 소개했다.
    "격치휘편"은 청나라에서 10여 년간 월간으로 발행된 잡지인 만큼 그 양이 방대해 전편을 구비해 소장하기 어려운 형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숭실대학교 박물관 등이 각각 그 일부씩을 소장하고 있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연속간행물

    조회수22

    格致彙編 第4年 第5卷 (The Chinese Scientific And Industrial Magazine VOL Ⅳ. No. 5)

    과학기술, 격치, 근대화, 존 프라이어, 계몽운동

    • 간행일光緖 7 (1881.6)
    • 발행처上海 格致敎書院發售
    • 저자傳蘭雅(英) 編
    • 면수20
    • 언어한문
    • 소장기관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격치휘편(格致彙編)"은 청나라에 주재하던 서양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서구의 과학기술을 소개할 목적으로 출판한 월간 잡지다. 1876년(청나라 연호, 광서2년) 2월호를 시작으로 1882년 1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 간행되었고, 이후 1890년부터 1892년까지는 계간지로 전환됐다. 특히 "격치휘편"은 청나라가 아편전쟁에서 패한 후 관료들을 중심으로 서구식 근대화를 추구하는 양무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창간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발행인을 맡은 존 프라이어(John Fryer, 한자이름 傅蘭雅)는 영국 성공회에서 파견된 선교사로 과학과 더불어 한학에도 조예가 깊어 28년간 강남제조국편역(江南制造局編驛)으로 활동하며 143권에 이르는 서구 과학기술 서적을 중국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격치휘편"은 서구 각국의 과학발달을 소개하는 비교적 가벼운 잡설에서부터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의학과 같은 과학 이론을 상세히 설명하는 기사들은 물론 광물, 농업, 전기, 기계, 군사무기, 기기제조, 인쇄, 철로, 방직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과학기술 전반을 매우 폭넓게 다뤘다. 특히 설명과 함께 상세한 도판들을 다양하게 실어 대중의 과학기술 이해를 도왔다.
    동아시아 최초의 월간 과학기술 잡지로서 "격치휘편"은 조선에까지 유통되었는데, 지석영은 1882년 고종에게 올린 상소에서 "격치휘편"을 거론하며 서구 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를 주장한 바 있으며, "한성순보"는 "격치휘편" 의 내용 일부를 주요 기사로 수록하기도 했다. 또한 1896년에 창간된 "대조선독립협회회보"는 "격치휘편"의 기사들을 창간호부터 다시 선별해 중요 내용을 소개했다.
    "격치휘편"은 청나라에서 10여 년간 월간으로 발행된 잡지인 만큼 그 양이 방대해 전편을 구비해 소장하기 어려운 형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숭실대학교 박물관 등이 각각 그 일부씩을 소장하고 있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연속간행물

    조회수21

    格致彙編 第4年 第6卷 (The Chinese Scientific And Industrial Magazine VOL Ⅳ. No. 6)

    과학기술, 격치, 근대화, 존 프라이어, 계몽운동

    • 간행일光緖 7 (1881.7)
    • 발행처上海 格致敎書院發售
    • 저자傳蘭雅(英) 編
    • 면수20
    • 언어한문
    • 소장기관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격치휘편(格致彙編)"은 청나라에 주재하던 서양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서구의 과학기술을 소개할 목적으로 출판한 월간 잡지다. 1876년(청나라 연호, 광서2년) 2월호를 시작으로 1882년 1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 간행되었고, 이후 1890년부터 1892년까지는 계간지로 전환됐다. 특히 "격치휘편"은 청나라가 아편전쟁에서 패한 후 관료들을 중심으로 서구식 근대화를 추구하는 양무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창간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발행인을 맡은 존 프라이어(John Fryer, 한자이름 傅蘭雅)는 영국 성공회에서 파견된 선교사로 과학과 더불어 한학에도 조예가 깊어 28년간 강남제조국편역(江南制造局編驛)으로 활동하며 143권에 이르는 서구 과학기술 서적을 중국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격치휘편"은 서구 각국의 과학발달을 소개하는 비교적 가벼운 잡설에서부터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의학과 같은 과학 이론을 상세히 설명하는 기사들은 물론 광물, 농업, 전기, 기계, 군사무기, 기기제조, 인쇄, 철로, 방직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과학기술 전반을 매우 폭넓게 다뤘다. 특히 설명과 함께 상세한 도판들을 다양하게 실어 대중의 과학기술 이해를 도왔다.
    동아시아 최초의 월간 과학기술 잡지로서 "격치휘편"은 조선에까지 유통되었는데, 지석영은 1882년 고종에게 올린 상소에서 "격치휘편"을 거론하며 서구 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를 주장한 바 있으며, "한성순보"는 "격치휘편" 의 내용 일부를 주요 기사로 수록하기도 했다. 또한 1896년에 창간된 "대조선독립협회회보"는 "격치휘편"의 기사들을 창간호부터 다시 선별해 중요 내용을 소개했다.
    "격치휘편"은 청나라에서 10여 년간 월간으로 발행된 잡지인 만큼 그 양이 방대해 전편을 구비해 소장하기 어려운 형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숭실대학교 박물관 등이 각각 그 일부씩을 소장하고 있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연속간행물

    조회수22

    格致彙編 第4年 第7卷 (The Chinese Scientific And Industrial Magazine VOL Ⅳ. No. 7)

    과학기술, 격치, 근대화, 존 프라이어, 계몽운동

    • 간행일光緖 7 (1881.8.)
    • 발행처上海 格致敎書院發售
    • 저자傳蘭雅(英) 編
    • 면수20
    • 언어한문
    • 소장기관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격치휘편(格致彙編)"은 청나라에 주재하던 서양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서구의 과학기술을 소개할 목적으로 출판한 월간 잡지다. 1876년(청나라 연호, 광서2년) 2월호를 시작으로 1882년 1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 간행되었고, 이후 1890년부터 1892년까지는 계간지로 전환됐다. 특히 "격치휘편"은 청나라가 아편전쟁에서 패한 후 관료들을 중심으로 서구식 근대화를 추구하는 양무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창간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발행인을 맡은 존 프라이어(John Fryer, 한자이름 傅蘭雅)는 영국 성공회에서 파견된 선교사로 과학과 더불어 한학에도 조예가 깊어 28년간 강남제조국편역(江南制造局編驛)으로 활동하며 143권에 이르는 서구 과학기술 서적을 중국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격치휘편"은 서구 각국의 과학발달을 소개하는 비교적 가벼운 잡설에서부터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의학과 같은 과학 이론을 상세히 설명하는 기사들은 물론 광물, 농업, 전기, 기계, 군사무기, 기기제조, 인쇄, 철로, 방직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과학기술 전반을 매우 폭넓게 다뤘다. 특히 설명과 함께 상세한 도판들을 다양하게 실어 대중의 과학기술 이해를 도왔다.
    동아시아 최초의 월간 과학기술 잡지로서 "격치휘편"은 조선에까지 유통되었는데, 지석영은 1882년 고종에게 올린 상소에서 "격치휘편"을 거론하며 서구 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를 주장한 바 있으며, "한성순보"는 "격치휘편" 의 내용 일부를 주요 기사로 수록하기도 했다. 또한 1896년에 창간된 "대조선독립협회회보"는 "격치휘편"의 기사들을 창간호부터 다시 선별해 중요 내용을 소개했다.
    "격치휘편"은 청나라에서 10여 년간 월간으로 발행된 잡지인 만큼 그 양이 방대해 전편을 구비해 소장하기 어려운 형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숭실대학교 박물관 등이 각각 그 일부씩을 소장하고 있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연속간행물

    조회수21

    格致彙編 第4年 第8卷 (The Chinese Scientific And Industrial Magazine VOL Ⅳ. No. 8)

    과학기술, 격치, 근대화, 존 프라이어, 계몽운동

    • 간행일光緖 7 (1881.9)
    • 발행처上海 格致敎書院發售
    • 저자傳蘭雅(英) 編
    • 면수20
    • 언어한문
    • 소장기관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격치휘편(格致彙編)"은 청나라에 주재하던 서양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서구의 과학기술을 소개할 목적으로 출판한 월간 잡지다. 1876년(청나라 연호, 광서2년) 2월호를 시작으로 1882년 1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 간행되었고, 이후 1890년부터 1892년까지는 계간지로 전환됐다. 특히 "격치휘편"은 청나라가 아편전쟁에서 패한 후 관료들을 중심으로 서구식 근대화를 추구하는 양무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창간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발행인을 맡은 존 프라이어(John Fryer, 한자이름 傅蘭雅)는 영국 성공회에서 파견된 선교사로 과학과 더불어 한학에도 조예가 깊어 28년간 강남제조국편역(江南制造局編驛)으로 활동하며 143권에 이르는 서구 과학기술 서적을 중국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격치휘편"은 서구 각국의 과학발달을 소개하는 비교적 가벼운 잡설에서부터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의학과 같은 과학 이론을 상세히 설명하는 기사들은 물론 광물, 농업, 전기, 기계, 군사무기, 기기제조, 인쇄, 철로, 방직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과학기술 전반을 매우 폭넓게 다뤘다. 특히 설명과 함께 상세한 도판들을 다양하게 실어 대중의 과학기술 이해를 도왔다.
    동아시아 최초의 월간 과학기술 잡지로서 "격치휘편"은 조선에까지 유통되었는데, 지석영은 1882년 고종에게 올린 상소에서 "격치휘편"을 거론하며 서구 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를 주장한 바 있으며, "한성순보"는 "격치휘편" 의 내용 일부를 주요 기사로 수록하기도 했다. 또한 1896년에 창간된 "대조선독립협회회보"는 "격치휘편"의 기사들을 창간호부터 다시 선별해 중요 내용을 소개했다.
    "격치휘편"은 청나라에서 10여 년간 월간으로 발행된 잡지인 만큼 그 양이 방대해 전편을 구비해 소장하기 어려운 형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숭실대학교 박물관 등이 각각 그 일부씩을 소장하고 있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연속간행물

    조회수20

    格致彙編 第4年 第9卷 (The Chinese Scientific And Industrial Magazine VOL Ⅳ. No. 9)

    과학기술, 격치, 근대화, 존 프라이어, 계몽운동

    • 간행일光緖 7 (1881.10)
    • 발행처上海格致書院發售
    • 저자傳蘭雅(英) 編
    • 면수20
    • 언어한문
    • 소장기관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격치휘편(格致彙編)"은 청나라에 주재하던 서양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서구의 과학기술을 소개할 목적으로 출판한 월간 잡지다. 1876년(청나라 연호, 광서2년) 2월호를 시작으로 1882년 1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 간행되었고, 이후 1890년부터 1892년까지는 계간지로 전환됐다. 특히 "격치휘편"은 청나라가 아편전쟁에서 패한 후 관료들을 중심으로 서구식 근대화를 추구하는 양무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창간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발행인을 맡은 존 프라이어(John Fryer, 한자이름 傅蘭雅)는 영국 성공회에서 파견된 선교사로 과학과 더불어 한학에도 조예가 깊어 28년간 강남제조국편역(江南制造局編驛)으로 활동하며 143권에 이르는 서구 과학기술 서적을 중국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격치휘편"은 서구 각국의 과학발달을 소개하는 비교적 가벼운 잡설에서부터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의학과 같은 과학 이론을 상세히 설명하는 기사들은 물론 광물, 농업, 전기, 기계, 군사무기, 기기제조, 인쇄, 철로, 방직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과학기술 전반을 매우 폭넓게 다뤘다. 특히 설명과 함께 상세한 도판들을 다양하게 실어 대중의 과학기술 이해를 도왔다.
    동아시아 최초의 월간 과학기술 잡지로서 "격치휘편"은 조선에까지 유통되었는데, 지석영은 1882년 고종에게 올린 상소에서 "격치휘편"을 거론하며 서구 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를 주장한 바 있으며, "한성순보"는 "격치휘편" 의 내용 일부를 주요 기사로 수록하기도 했다. 또한 1896년에 창간된 "대조선독립협회회보"는 "격치휘편"의 기사들을 창간호부터 다시 선별해 중요 내용을 소개했다.
    "격치휘편"은 청나라에서 10여 년간 월간으로 발행된 잡지인 만큼 그 양이 방대해 전편을 구비해 소장하기 어려운 형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숭실대학교 박물관 등이 각각 그 일부씩을 소장하고 있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연속간행물

    조회수21

    格致彙編 第4年 第11卷 (The Chinese Scientific And Industrial Magazine VOL Ⅳ. No. 11)

    과학기술, 격치, 근대화, 존 프라이어, 계몽운동

    • 간행일光緖 7 (1881.11)
    • 발행처上海格致書院發售
    • 저자傳蘭雅(英) 編
    • 면수21
    • 언어한문
    • 소장기관숭실대학교한국기독교박물관

    "격치휘편(格致彙編)"은 청나라에 주재하던 서양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서구의 과학기술을 소개할 목적으로 출판한 월간 잡지다. 1876년(청나라 연호, 광서2년) 2월호를 시작으로 1882년 1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 간행되었고, 이후 1890년부터 1892년까지는 계간지로 전환됐다. 특히 "격치휘편"은 청나라가 아편전쟁에서 패한 후 관료들을 중심으로 서구식 근대화를 추구하는 양무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창간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발행인을 맡은 존 프라이어(John Fryer, 한자이름 傅蘭雅)는 영국 성공회에서 파견된 선교사로 과학과 더불어 한학에도 조예가 깊어 28년간 강남제조국편역(江南制造局編驛)으로 활동하며 143권에 이르는 서구 과학기술 서적을 중국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격치휘편"은 서구 각국의 과학발달을 소개하는 비교적 가벼운 잡설에서부터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의학과 같은 과학 이론을 상세히 설명하는 기사들은 물론 광물, 농업, 전기, 기계, 군사무기, 기기제조, 인쇄, 철로, 방직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과학기술 전반을 매우 폭넓게 다뤘다. 특히 설명과 함께 상세한 도판들을 다양하게 실어 대중의 과학기술 이해를 도왔다.
    동아시아 최초의 월간 과학기술 잡지로서 "격치휘편"은 조선에까지 유통되었는데, 지석영은 1882년 고종에게 올린 상소에서 "격치휘편"을 거론하며 서구 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를 주장한 바 있으며, "한성순보"는 "격치휘편" 의 내용 일부를 주요 기사로 수록하기도 했다. 또한 1896년에 창간된 "대조선독립협회회보"는 "격치휘편"의 기사들을 창간호부터 다시 선별해 중요 내용을 소개했다.
    "격치휘편"은 청나라에서 10여 년간 월간으로 발행된 잡지인 만큼 그 양이 방대해 전편을 구비해 소장하기 어려운 형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숭실대학교 박물관 등이 각각 그 일부씩을 소장하고 있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연속간행물

    조회수20

    格致彙編 第4卷 第12號 (The Chinese Scientific And Industrial Magazine VOL Ⅳ. No. 12)

    과학기술, 격치, 근대화, 존 프라이어, 계몽운동

    • 간행일光緖8 (1882.1)
    • 발행처上海格致書院發售
    • 저자傳蘭雅(英) 編
    • 면수20
    • 언어한문
    • 소장기관숭실대학교한국기독교박물관

    "격치휘편(格致彙編)"은 청나라에 주재하던 서양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서구의 과학기술을 소개할 목적으로 출판한 월간 잡지다. 1876년(청나라 연호, 광서2년) 2월호를 시작으로 1882년 1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 간행되었고, 이후 1890년부터 1892년까지는 계간지로 전환됐다. 특히 "격치휘편"은 청나라가 아편전쟁에서 패한 후 관료들을 중심으로 서구식 근대화를 추구하는 양무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에 창간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발행인을 맡은 존 프라이어(John Fryer, 한자이름 傅蘭雅)는 영국 성공회에서 파견된 선교사로 과학과 더불어 한학에도 조예가 깊어 28년간 강남제조국편역(江南制造局編驛)으로 활동하며 143권에 이르는 서구 과학기술 서적을 중국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격치휘편"은 서구 각국의 과학발달을 소개하는 비교적 가벼운 잡설에서부터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의학과 같은 과학 이론을 상세히 설명하는 기사들은 물론 광물, 농업, 전기, 기계, 군사무기, 기기제조, 인쇄, 철로, 방직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과학기술 전반을 매우 폭넓게 다뤘다. 특히 설명과 함께 상세한 도판들을 다양하게 실어 대중의 과학기술 이해를 도왔다.
    동아시아 최초의 월간 과학기술 잡지로서 "격치휘편"은 조선에까지 유통되었는데, 지석영은 1882년 고종에게 올린 상소에서 "격치휘편"을 거론하며 서구 문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를 주장한 바 있으며, "한성순보"는 "격치휘편" 의 내용 일부를 주요 기사로 수록하기도 했다. 또한 1896년에 창간된 "대조선독립협회회보"는 "격치휘편"의 기사들을 창간호부터 다시 선별해 중요 내용을 소개했다.
    "격치휘편"은 청나라에서 10여 년간 월간으로 발행된 잡지인 만큼 그 양이 방대해 전편을 구비해 소장하기 어려운 형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숭실대학교 박물관 등이 각각 그 일부씩을 소장하고 있다.
1 2 3 4
  • 개인정보처리방침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06978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창의관 604호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TEL 02-820-0838 E-mail kiccs@ssu.ac.kr

Copyright @ Soongsil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관련사이트 바로가기
  • 숭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