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아카이브 소개
디지털아카이브
한국 근대와 메타모포시스 아카이브는
특히 개신교계 교육 및 의료 분야의 문서 발간이 활성화되면서 등장한 근대학문 교과서, 복음 전도를 위한 신앙서적 등의 문헌은 전통사회에서 새로운 근대 문화 창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대표적 사료입니다.
본 사업단은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중 근대 시기의 의미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선별하고 DB화하여 원문접근이 어려운 박물관 자료를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련 분야 연구자 및 대중들의 자료 접근성 및 활용성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또한 인문학 콘텐츠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여 근대 시기 인문학 분야의 디지털 인문학 모델로 발전시키고자 합니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근대 시기의 자료를 활용하여 근대 전환공간에서 형성된 인문학 연구 기반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디지털화(digitalization)하여 제공하는 아카이브입니다.
한국기독교박물관은 한국 개신교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기독교 자료는 물론 근대 전환기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 관련된 자료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근대 문명의 수용과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역사적 변혁기의 시대상을 증거하는 자료입니다.특히 개신교계 교육 및 의료 분야의 문서 발간이 활성화되면서 등장한 근대학문 교과서, 복음 전도를 위한 신앙서적 등의 문헌은 전통사회에서 새로운 근대 문화 창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대표적 사료입니다.
본 사업단은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중 근대 시기의 의미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선별하고 DB화하여 원문접근이 어려운 박물관 자료를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련 분야 연구자 및 대중들의 자료 접근성 및 활용성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또한 인문학 콘텐츠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여 근대 시기 인문학 분야의 디지털 인문학 모델로 발전시키고자 합니다.
세부 컬렉션
본 사업단 아젠다 주제인 <근대 전환공간의 인문학, 문화의 메타모포시스>의 사례를 보여주는 디지털 아카이브는 다음과 같이 세부 컬렉션으로 구성됩니다.

한국 근대와 기독교
- 한국 근대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는 기독교 관련 자료들로 선교사들의한국학 자료, 각종 기독교 신문·잡지, 교회학교 자료, 예수교서회 발행 기독교 문서로 구성

선교사와 근대대학
- 근대 대학을 설립하고 근대 학문을 도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한국 주재 선교사들 자료들로 구성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 근대 초기 문화적 메타모포시스 연구에 활용될 만한 자료들로 개화기의 각종 단행본과 교과서류, 연속간행물, 19세기 중국의 서학 관련 자료들로 구성

한국전쟁과 기독교
- 한국전쟁 발발을 전후로 하여 20세기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와 한국을 둘러싼 국제정세에 관한 문헌자료, 한국전쟁기 선교사들의 활동, 전란으로 인해 발생한 전쟁미망인과 전쟁고아들을 위한 수용보호 시설들 등에 관한 자료들로 구성

평양과 숭실
-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품을 비롯해서 국내외에 흩어져 있는 평양과 숭실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여 디지털 아카이브로 공개

숭실 불휘총서
- 숭실대 건학 120주념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발간해 온 <숭실 불휘총서> 시리즈로 숭실대와 관련 깊은 교장 및 교사 등 주요 인물들에 대한 평전 및 연구 시리즈로 구성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해제집
-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이 2007-2012년에 걸쳐 소장품 중 주요 문헌 자료를 주제별로 분류해 발간한 해제집으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