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 연구원 소개

    연구원 소개

    텬로력뎡 제1장면
    크리스천이 복음전도사의 계도를 받다

    • 인사말
    •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이란?
    • 연혁
    • 조직도
    • 구성원
    • 오시는 길
  • 간행 도서

    간행 도서

    텬로력뎡 제21장면
    크리스천이 악귀를 만나 기도하다

    • 연구원 간행도서
    • HK+ 메타모포시스총서
  • 학술 대회

    학술 대회

    텬로력뎡 제33장면
    크리스천과 소망이 절망의 옥에 갇히다

    • 학술 대회/세미나
    • HK+ 학술대회
    • HK+ 콜로키움
    • HK+ 글로벌한국학 포럼
    • HK+ 석학강좌
    • HK+ 월례발표회
    • 활동 갤러리
  • 기독교와 문화

    기독교와 문화

    텬로력뎡 제37장면
    무지를 만나다

    • 기독교와 문화 안내
      • 안내사항
      • 투고 규정 및 논문 작성법
      • 심사 및 발행 규정
      • 연구윤리 규정
    • 학술지 보기
    • 논문 투고
  •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텬로력뎡 제40장면
    천사를 만나다

    • 디지털아카이브 소개
    • 한국 근대와 기독교
    • 선교사와 근대대학
    •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 한국전쟁과 기독교
    • 평양과 숭실
    • 숭실 불휘총서 및 기타 출판물
    •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해제집
  • 인문학 강좌

    인문학 강좌

    텬로력뎡 제42장면
    천국에 들어가다

    • 인문강좌
    • 지역연계프로그램
    • 인문주간
    • 공모전
    • 온라인 강좌
  • 공지사항

    공지사항

    • 공지사항
전체메뉴 열기
  • 연구원 소개
    • 인사말
    •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이란?
    • 연혁
    • 조직도
    • 구성원
    • 오시는 길
  • 간행 도서
    • 연구원 간행도서
    • HK+ 메타모포시스총서
  • 학술 대회
    • 학술 대회/세미나
    • HK+ 학술대회
    • HK+ 콜로키움
    • HK+ 글로벌한국학 포럼
    • HK+ 석학강좌
    • HK+ 월례발표회
    • 활동 갤러리
  • 기독교와 문화
    • 기독교와 문화 안내
      • 안내사항
      • 투고 규정 및 논문 작성법
      • 심사 및 발행 규정
      • 연구윤리 규정
    • 학술지 보기
    • 논문 투고
  • 디지털아카이브
    • 디지털아카이브 소개
    • 한국 근대와 기독교
    • 선교사와 근대대학
    •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 한국전쟁과 기독교
    • 평양과 숭실
    • 숭실 불휘총서 및 기타 출판물
    •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해제집
  • 인문학 강좌
    • 인문강좌
    • 지역연계프로그램
    • 인문주간
    • 공모전
    • 온라인 강좌
  • 공지사항
    • 공지사항
전체메뉴 닫기

선교사와 근대대학

  • 홈
  • 디지털아카이브
  • 선교사와 근대대학

디지털아카이브

  • 디지털아카이브 소개
  • 한국 근대와 기독교
  • 선교사와 근대대학
    • 근대대학 교과서
    • 프랜시스 킨슬러 가족 컬렉션
    • 윌리엄 베어드 가족 컬렉션
  •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 한국전쟁과 기독교
  • 평양과 숭실
  • 숭실 불휘총서 및 기타 출판물
  •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해제집

근대 대학을 설립하고 근대 학문을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한국 주재 선교사들의 흩어진 자료들을 모아 디지털 아카이브로 공개합니다. 베어드 부부(William Martyn Baird & Annie L. A. Baird)나 킨슬러(Francis Kinsler) 등 숭실대학 관련 인물들 뿐 아니라 게일(James Gale),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 등 한국 근대 대학 및 학문의 기초를 놓는 데 기여했던 선교사들의 인물별 컬렉션, 기독교계 대학 교과서 등 다양한 관련자료들을 제공합니다.

검색어

전체 5 건 페이지 1/1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사진

    조회수32

    THE WILLOW

    로즈 베어드(Rose M. F. Baird), 배로사, 프랫대학(PRATT INSTITUTE), 배위량(William M. Baird), 평양선교지부, 평양여자고등성경학교, 버드나무(THE WILLOW)

    • 간행일불명
    • 발행처THE CLASS OF 1907 NORMAL ART AND MANUAL TRAINING PRATT INSTITUTE BROOKLYN, N.Y.
    • 저자THE NORMAL CLASS OF 1907 ART AND MANUAL TRAINING PRATT INSTITUTE
    • 면수38
    • 언어영문
    • 소장기관한국

    『버드나무』(THE WILLOW)는 로즈 메이 페트롤프 베어드(Rose May Fetterrolf Baird, 배로사, 裴路使, 1881~1946)가 다녔던 미국 뉴욕의 프랫대학(Pratt Institute, NY City)의 지도교수 캐서린 샤택(Katharine F. Shattack)에게 헌정하는 단행본으로 1907년에 제작되었다. 로즈 베어드의 친필 사인이 들어있고, 책의 크기는 24cm×29.5cm, 인쇄 종이의 질감이 단단하고 튼튼하며, 종이의 두께가 곁장으로 되어있다. 글씨체는 여러 서체들을 사용하였고 영어로 쓰여져 있다. 책 내부에 미술대학의 19명의 강사들의 사진과 이름이 수록되어 있고, 맨 마지막 면에 로즈 베어드의 동문인 47명의 얼굴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 한 명의 사진은 뜯겨져 있어 인명 확인이 불분명하다.

    로즈 베어드는 숭실대학교 설립자 윌리엄 베어드(William Martyn Baird, 배위량, 1862. 6. 16~1931. 11. 29) 선교사가 애니 베어드(Annie L. Adams Baird, 안애리, 1864~1916)와 사별한 후 그와 결혼한 두 번째 부인으로 남편을 따라 1918년 내한한 후 1931년까지 선교사로 활동했다.
    로즈 베어드는 1918년 1월 1일 펜실베니아주 컬럼비아 카운티에서 어머니가 감리교인 집안에서 출생하였고, 블룸스버그 주립 사범대학(Bloomsburg State Normal School, 1901~1903), 필라델피아 드렉셀 대학(Drexel Institute, Phila.), 뉴욕 프랫대학(Pratt Institute, NY City, 1908~1910), 무디성경학교(Moody Bible Institute, 1914~1916)를 다녔다. 그녀는 컬럼비아 카운티의 시골학교에서 교사로 3~4년간 가르쳤고, 3년간 미술교육 고급훈련 과정을 밟았다. 이후 공직에서 미술교육 분야의 최고 관리자로 일했다. 처음엔 윌크스-배리(Wilkes-Barre) 공립학교의 미술교육 담당자로, 그 후엔 펜실베니아 주정부 교육부의 미술교육 최고 관리자로 근무했다. 그녀는 주정부 교육부의 고위직을 사임하고, 시카고 소재 무디 성경학교에 입학하여 교직원과 전도사역자로 활동했다. 그녀는 1917년 베어드 박사가 안식년 기간 동안 무디 성경학교를 방문하여 한국에서의 선교사역에 대해 강연했을 때, 베어드 박사의 전담안내자로 선임되었고, 이를 계기로 두 사람은 1918년 8월 8일 결혼에 이르게 되었다. 로즈 여사는 1931년 베어드 박사의 사망 이후에도 계속해서 한국에 남아 사역했다. 특별히 평양 여자고등성경학원 및 평양여자신학교에서 교사와 교장으로 활동했다.
    이 자료는 시기적으로 1908~1910년 3년간 고등미술교육 기관에서 수학했던 로즈 베어드의 소장품으로서 미술분야의 일반예술적 가치를 보여준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사진

    조회수18

    朝鮮平壤長老會 미슌女子神學院全景

    • 간행일불명
    • 발행처
    • 저자
    • 면수1
    • 언어
    • 소장기관

    이 사진은 조선평양장로회 미슌여자신학원의 학교건물 교사(校舍) 전경 사진이다. Dam이 뒷면에 “Woman’s Biblical Seminary, Dam she raised money, did the overseeing of the building”라고 적혀 있다. 1923년에 3월 23일 평양 경창리에 처음 개교한 평양 장로교 여자고등성경학교는 1938년 평양 여자신학원으로 변경되었고, 1940년 폐교되었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사진

    조회수14

    평양 조선 야소교장로회 여자고등성경학교, 1933.3.14. 제8회졸업기념

    • 간행일1933. 3. 14
    • 발행처
    • 저자
    • 면수1
    • 언어
    • 소장기관

    “평양 조선 야소교장로회 여자고등성경학교, 1933.3.14. 제8회졸업기념”은 졸업기념 단체사진이다. 교장 로즈 베어드, 외국인 여교사 2명, 한국인 남자 박사 2명으로 구성된 교수진과 10명의 졸업생의 사진, 중앙에 당시 학교의 건물 전경이 있다. 뒷면에 “Womans Biblical Seminary, Highest education for woman, Mother principal”라고 적혀 있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사진

    조회수17

    Mother w/her teachers from Woman’s Seminary

    • 간행일불명
    • 발행처
    • 저자
    • 면수1
    • 언어
    • 소장기관

    “평양여자신학교 교사들과 함께”는 평양여자신학교의 교장 로즈 베어드와 8명의 교사들이 함께 찍은 단체사진이다.

  • 農民生活 第十二卷 第四號(第百二十四號)

    사진

    조회수20

    Dedication Service, Pyengyang West Gate Church

    • 간행일1919 또는 1920
    • 발행처
    • 저자
    • 면수1
    • 언어
    • 소장기관

    “평양서문밖교회 봉헌예배” 단체 사진이다. 강단에 길선주 목사가 설교하고 있다. 그 뒤에 여러 인사들이 앉아 있는데, 그 중에 한 명이 윌리엄 베어드 선교사이고, 강단 아래 오른쪽 오르간 앞에 로즈 베어드 여사가 앉아 경청하고 있다. 강단 아래로 평양서문밖교회 교인들이 앉아 있는데, 왼쪽엔 남자, 오른쪽엔 여자 좌석으로 구분으로 하여 줄지어 앉아 예배를 드리고 있다.

1
  • 개인정보처리방침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06978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창의관 604호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TEL 02-820-0838 E-mail kiccs@ssu.ac.kr

Copyright @ Soongsil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관련사이트 바로가기
  • 숭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