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
(일반부-장려상) “근대 전환기와 식민지 조선에서 전통 활쏘기(國弓)의 스포츠화 과정” |
|
2020-05-07 |
393 |
22 |
(일반부-장려상) “독립운동과 시민으로의 메타모포시스” |
|
2020-05-07 |
366 |
21 |
(일반부-장려상) “개화기 불화에서 보이는 불교계의 근대성으로의 이행” |
|
2020-05-07 |
368 |
20 |
(일반부-우수상) “근대 시기 한국의 공간과 건축의 메타모포시스” |
|
2020-05-07 |
376 |
19 |
(일반부-우수상) “무속신앙에 대한 초기 선교사의 대응” |
|
2020-05-07 |
359 |
18 |
(일반부-최우수상) “천재화가 이쾌대를 통한 한국 근대미술의 메타모포시스” |
|
2020-05-07 |
369 |
17 |
(일반부-대상) “잘 살기 담론의 기원과 변용” |
|
2020-05-07 |
365 |
16 |
(대학부-장려상) “씨알사상과 변통(變通)” |
|
2020-05-07 |
372 |
15 |
(대학부-장려상) “개항이 불러온 근대 한국의 인식 변화” |
|
2020-05-07 |
372 |
14 |
(대학부-장려상) “한국의 근대와 사회주의의 메타모포시스” |
|
2020-05-07 |
3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