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애리(A.L.A. Baird)·베커(L.B.Becker)지음, 장경남 옮김, 김사랑 해제, 《챵가집》, 도서출판 생각의 닻, 2024
『챵가집」을 분석하는 작업은 만든 사람들의 의식과 당시 음악교육의 특징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 될 수 있다.
『챵가집』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당시 선교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미국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선교사의 문화적인 배경과 선교적 방법론이 교재의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문화적인 배경은 교재 구성에 가장 중요한 잣대로 구실하는 한편, 선교적 방법론은 그 방향을 결정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흥미로운 사실은 선교사의 '미국적인 문화 배경과 '토착화'를 실현하고자 했던 선교적 방법론은 상충된다는 점이다.
필자는 이 점에 주목하여 두 힘, 추력과 항력의 결과물로써 『챵가집』을 읽어보려 한 다.
즉 선교사를 둘러싼 사회 문화적인 경험과 상황이 교재 편찬에 있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수록곡의 구성과 곡의 음악적 형태나 변형을 통해 고찰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