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 연구원 소개

    연구원 소개

    텬로력뎡 제1장면
    크리스천이 복음전도사의 계도를 받다

    • 인사말
    •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이란?
    • 연혁
    • 조직도
    • 구성원
    • 오시는 길
  • 간행 도서

    간행 도서

    텬로력뎡 제21장면
    크리스천이 악귀를 만나 기도하다

    • 연구원 간행도서
    • HK+ 메타모포시스총서
  • 학술 대회

    학술 대회

    텬로력뎡 제33장면
    크리스천과 소망이 절망의 옥에 갇히다

    • 학술 대회/세미나
    • HK+ 학술대회
    • HK+ 콜로키움
    • HK+ 글로벌한국학 포럼
    • HK+ 석학강좌
    • HK+ 월례발표회
    • 활동 갤러리
  • 기독교와 문화

    기독교와 문화

    텬로력뎡 제37장면
    무지를 만나다

    • 기독교와 문화 안내
      • 안내사항
      • 투고 규정 및 논문 작성법
      • 심사 및 발행 규정
      • 연구윤리 규정
    • 학술지 보기
    • 논문 투고
  •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텬로력뎡 제40장면
    천사를 만나다

    • 디지털아카이브 소개
    • 한국 근대와 기독교
    • 선교사와 근대대학
    •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 한국전쟁과 기독교
    • 평양과 숭실
    • 숭실 불휘총서 및 기타 출판물
    •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해제집
  • 인문학 강좌

    인문학 강좌

    텬로력뎡 제42장면
    천국에 들어가다

    • 인문강좌
    • 지역연계프로그램
    • 인문주간
    • 공모전
    • 온라인 강좌
  • 공지사항

    공지사항

    • 공지사항
전체메뉴 열기
  • 연구원 소개
    • 인사말
    •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이란?
    • 연혁
    • 조직도
    • 구성원
    • 오시는 길
  • 간행 도서
    • 연구원 간행도서
    • HK+ 메타모포시스총서
  • 학술 대회
    • 학술 대회/세미나
    • HK+ 학술대회
    • HK+ 콜로키움
    • HK+ 글로벌한국학 포럼
    • HK+ 석학강좌
    • HK+ 월례발표회
    • 활동 갤러리
  • 기독교와 문화
    • 기독교와 문화 안내
      • 안내사항
      • 투고 규정 및 논문 작성법
      • 심사 및 발행 규정
      • 연구윤리 규정
    • 학술지 보기
    • 논문 투고
  • 디지털아카이브
    • 디지털아카이브 소개
    • 한국 근대와 기독교
    • 선교사와 근대대학
    •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 한국전쟁과 기독교
    • 평양과 숭실
    • 숭실 불휘총서 및 기타 출판물
    •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해제집
  • 인문학 강좌
    • 인문강좌
    • 지역연계프로그램
    • 인문주간
    • 공모전
    • 온라인 강좌
  • 공지사항
    • 공지사항
전체메뉴 닫기

HK+ 메타모포시스총서

  • 홈
  • 간행 도서
  • 연구총서

간행 도서

  • 연구원 간행도서
    • 한국기독교연구논총
    • 한국기독교연구논총(기독교강의)
    • 베어드 연구 총서 시리즈
    • 문화연구논총 시리즈
    • 전국 목회자 세미나 자료집
    • 사회발전 연구 시리즈
    • 기독교와 한국사회 시리즈
  • HK+ 메타모포시스총서
    • 연구총서
    • 자료총서
    • 번역총서
    • 교양문고
    • 영문 무크지
메타모포시스 인문학총서20:뒤틀린 운명의 메타모포시스:헝가리 현대사의 격동기

조회수19

메타모포시스 인문학총서20:뒤틀린 운명의 메타모포시스:헝가리 현대사의 격동기

목차

    김지영,《뒤틀린 운명의 메타모포시스:헝가리 현대사의 격동기》,보고사,2025


    나는 이 저서에서 헝가리와 강대국 사이의 외교 관계에 가장 큰 중점을 두었다. 이 책은 크게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근대 의 태동기부터 1940년까지 헝가리와 루마니아 간 대립의 역사적 배경을 다룬다.

    제2장은 제2차 빈 중재 판정에서 헝가리와 루마니아 의 태도, 그리고 이와 관련한 소비에트, 독일, 이탈리아, 영국, 프랑 스, 미국의 자세에 관해 기술한다.

    제3장은 파리 평화 조약을 다룬다.

    헝가리와 루마니아의 관련 활동 외에 소위 "승전국들"의 관점도 제시된다. 그리고 필자의 논지가 포함된 결론으로 이 책을 마무리한다.


    간행사

    머리말


    1장 역사적 배경

    1. 1918년 이전 근대 민족국가주의 발전 시기에 나타난 헝가리-루마니아 관계

    2. 트란실바니아 문제와 강대국들, 1918~1920년

    3. 양차 대전 사이 트란실바니아와 헝가리-루마니아 관계, 1920~1938년


    2장 강대국의 제1차 개입과 제2차 빈 중재 판정 (1940년 8월 30일)

    1. 루마니아의 관점

    2. 헝가리의 주장

    3. 프랑스의 자세

    4. 미국의 자세

    5. 영국의 자세

    6. 소련의 자세

    7. 이탈리아의 자세

    8. 독일의 자세

    9. 투르누 세베린(쇠레니바르) 협상

    10. 제2차 빈 중재 판정과 그 결과


    3장 강대국의 제2차 개입과 1947년 파리 평화 조약

    1. 1941~1947년 헝가리의 태도

    2. 1941~1947년 루마니아의 태도

    3. 미국의 계획

    4. 영국의 계획

    5. 소련의 계획

    6. 파리 평화 조약


    결론

    참고문헌

    미주

  • 개인정보처리방침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06978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창의관 604호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TEL 02-820-0838 E-mail kiccs@ssu.ac.kr

Copyright @ Soongsil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관련사이트 바로가기
  • 숭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