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수21
메타모포시스 인문학총서10: 전통 춤의 변용과 근대 무용의 탄생
목차
김호연, 《전통 춤의 변용과 근대 무용의 탄생》, 보고사, 2021.
한국 사회에서 개항 이후 광복 즈음까지 시기는 다양한 쟁점이 발생하고 흥미로운 담론과 현상이 가득한 공간이다. 한국 사회는 이 시기 자생적인 근대의식의 발현과 서양의 문명과 문화가 정반합을 이루면서 그동안의 삶의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변화를 꾀하게 되었다. 한국 무용도 마찬가지이다. 전통 춤의 변용과 서양 춤의 유입을 통해 무대공연예술의 토대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담론이 형성되었다. 본서에서는 근대 한국 무용의 여러 현상을 살피면서 근대 한국 문화의 메타모포시스 모습을 찾아보고자 노력했다.
간행사
머리말
제1부 한국 근대 무용의 형성과 공간적 의미
근대 극장의 탄생과 전통 춤의 변용
무대공연예술로 전통 춤 레퍼토리의 형성
근대 공적 공간에 나타난 무용의 변용
일제강점 말기 무용의 시대적 순응 양상
제2부 한국 근대 무용 담론의 탄생
한국 근대 무용 이론의 생성
한국 근대 무용 비평의 탄생
한국 근대 현대 무용 형성과 그 의미
근대 한국 발레의 생성과 그 흐름
제3부 한국 근대 무용가의 활동 양상
배구자를 통해 본 근대 한국 무용의 변용과 창조
한국 현대 무용의 이방인, 박영인
자료를 통한 근대 무용가의 재인식
제4부 한국 근대 무용의 그 주변
한국 근대 문예에 나타난 민족담론의 형성
한국 근대 문예예술에 나타난 포용적 가치체계
이무영의 일제강점 말기 순응적 창작 모습
해방공간 악극의 변용과 활동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