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 연구원 소개

    연구원 소개

    텬로력뎡 제1장면
    크리스천이 복음전도사의 계도를 받다

    • 인사말
    •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이란?
    • 연혁
    • 조직도
    • 구성원
    • 오시는 길
  • 간행 도서

    간행 도서

    텬로력뎡 제21장면
    크리스천이 악귀를 만나 기도하다

    • 연구원 간행도서
    • HK+ 메타모포시스총서
  • 학술 대회

    학술 대회

    텬로력뎡 제33장면
    크리스천과 소망이 절망의 옥에 갇히다

    • 학술 대회/세미나
    • HK+ 학술대회
    • HK+ 콜로키움
    • HK+ 글로벌한국학 포럼
    • HK+ 석학강좌
    • HK+ 월례발표회
    • 활동 갤러리
  • 기독교와 문화

    기독교와 문화

    텬로력뎡 제37장면
    무지를 만나다

    • 기독교와 문화 안내
      • 안내사항
      • 투고 규정 및 논문 작성법
      • 심사 및 발행 규정
      • 연구윤리 규정
    • 학술지 보기
    • 논문 투고
  • 디지털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텬로력뎡 제40장면
    천사를 만나다

    • 디지털아카이브 소개
    • 한국 근대와 기독교
    • 선교사와 근대대학
    •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 한국전쟁과 기독교
    • 평양과 숭실
    • 숭실 불휘총서 및 기타 출판물
    •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해제집
  • 인문학 강좌

    인문학 강좌

    텬로력뎡 제42장면
    천국에 들어가다

    • 인문강좌
    • 지역연계프로그램
    • 인문주간
    • 공모전
    • 온라인 강좌
  • 공지사항

    공지사항

    • 공지사항
전체메뉴 열기
  • 연구원 소개
    • 인사말
    •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이란?
    • 연혁
    • 조직도
    • 구성원
    • 오시는 길
  • 간행 도서
    • 연구원 간행도서
    • HK+ 메타모포시스총서
  • 학술 대회
    • 학술 대회/세미나
    • HK+ 학술대회
    • HK+ 콜로키움
    • HK+ 글로벌한국학 포럼
    • HK+ 석학강좌
    • HK+ 월례발표회
    • 활동 갤러리
  • 기독교와 문화
    • 기독교와 문화 안내
      • 안내사항
      • 투고 규정 및 논문 작성법
      • 심사 및 발행 규정
      • 연구윤리 규정
    • 학술지 보기
    • 논문 투고
  • 디지털아카이브
    • 디지털아카이브 소개
    • 한국 근대와 기독교
    • 선교사와 근대대학
    • 근대전환기 자료 컬렉션
    • 한국전쟁과 기독교
    • 평양과 숭실
    • 숭실 불휘총서 및 기타 출판물
    • 한국기독교박물관 자료 해제집
  • 인문학 강좌
    • 인문강좌
    • 지역연계프로그램
    • 인문주간
    • 공모전
    • 온라인 강좌
  • 공지사항
    • 공지사항
전체메뉴 닫기

HK+ 메타모포시스총서

  • 홈
  • 간행 도서
  • 연구총서

간행 도서

  • 연구원 간행도서
    • 한국기독교연구논총
    • 한국기독교연구논총(기독교강의)
    • 베어드 연구 총서 시리즈
    • 문화연구논총 시리즈
    • 전국 목회자 세미나 자료집
    • 사회발전 연구 시리즈
    • 기독교와 한국사회 시리즈
  • HK+ 메타모포시스총서
    • 연구총서
    • 자료총서
    • 번역총서
    • 교양문고
    • 영문 무크지
메타모포시스 인문학총서10: 전통 춤의 변용과 근대 무용의 탄생

조회수21

메타모포시스 인문학총서10: 전통 춤의 변용과 근대 무용의 탄생

목차

    김호연, 《전통 춤의 변용과 근대 무용의 탄생》, 보고사, 2021.

     

    한국 사회에서 개항 이후 광복 즈음까지 시기는 다양한 쟁점이 발생하고 흥미로운 담론과 현상이 가득한 공간이다. 한국 사회는 이 시기 자생적인 근대의식의 발현과 서양의 문명과 문화가 정반합을 이루면서 그동안의 삶의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변화를 꾀하게 되었다. 한국 무용도 마찬가지이다. 전통 춤의 변용과 서양 춤의 유입을 통해 무대공연예술의 토대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담론이 형성되었다. 본서에서는 근대 한국 무용의 여러 현상을 살피면서 근대 한국 문화의 메타모포시스 모습을 찾아보고자 노력했다.

     

     

    간행사

    머리말

     

    제1부 한국 근대 무용의 형성과 공간적 의미

    근대 극장의 탄생과 전통 춤의 변용

    무대공연예술로 전통 춤 레퍼토리의 형성

    근대 공적 공간에 나타난 무용의 변용

    일제강점 말기 무용의 시대적 순응 양상

     

    제2부 한국 근대 무용 담론의 탄생

    한국 근대 무용 이론의 생성

    한국 근대 무용 비평의 탄생

    한국 근대 현대 무용 형성과 그 의미

    근대 한국 발레의 생성과 그 흐름

     

    제3부 한국 근대 무용가의 활동 양상

    배구자를 통해 본 근대 한국 무용의 변용과 창조

    한국 현대 무용의 이방인, 박영인

    자료를 통한 근대 무용가의 재인식

     

    제4부 한국 근대 무용의 그 주변

    한국 근대 문예에 나타난 민족담론의 형성

    한국 근대 문예예술에 나타난 포용적 가치체계

    이무영의 일제강점 말기 순응적 창작 모습

    해방공간 악극의 변용과 활동 양상

  • 개인정보처리방침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06978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창의관 604호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TEL 02-820-0838 E-mail kiccs@ssu.ac.kr

Copyright @ Soongsil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관련사이트 바로가기
  • 숭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