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
기독교와 문화 제19집(2023.06) 초기 한국기독교 자료 해제 : “구세진전”(1907)(박혜미)
|
파일
|
2024.06.19 |
4311 |
80 |
기독교와 문화 제19집(2023.06) 문학적 기호로 읽는 노아의 방주와 그 의미작용(정유화)
|
파일
|
2024.06.19 |
4308 |
79 |
기독교와 문화 제19집(2023.06) 노년의 윤리학에서 노년의 사회철학으로 : 노년담론에 대한 보부아르의 사회철학적 전회(이하준)
|
파일
|
2024.06.19 |
4306 |
78 |
기독교와 문화 제19집(2023.06)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본 우크라이나 전쟁 : 기독교 현실주의와 평화윤리를 중심으로(이종원)
|
파일
|
2024.06.19 |
4298 |
77 |
기독교와 문화 제19집(2023.06) 총체적 치유의 관점을 통해 본 기독교의 행복(이명규)
|
파일
|
2024.06.19 |
4187 |
76 |
기독교와 문화 제19집(2023.06) 기독교 목회자의 마을공동체 참여를 통한 학습경험 탐색(이강문, 최성우)
|
파일
|
2024.06.19 |
4184 |
75 |
기독교와 문화 제19집(2023.06) 동물 철학이란 무엇인가? : 슈바이처의 ‘생명에 대한 외경’을 중심으로(신응철)
|
파일
|
2024.06.19 |
4185 |
74 |
기독교와 문화 제19집(2023.06) 근대 전환공간으로서의 평양, 그리고 음식문화(오지석)
|
파일
|
2024.06.19 |
4193 |
73 |
기독교와 문화 제19집(2023.06) 평양 숭실 철학자 박치우 사상의 독특성(심의용)
|
파일
|
2024.06.19 |
4191 |
72 |
기독교와 문화 제19집(2023.06) 한국의 성경구락부 형성과정에서 권세열의 역할(마은지)
|
파일
|
2024.06.19 |
4187 |